신생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소화기 질환 중 하나가 유문협착증입니다. 유문협착증은 위와 십이지장을 연결하는 유문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주로 생후 2~8주 사이의 신생아에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이 생기면 아기가 먹은 분유나 모유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심한 구토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 유문협착증의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유문협착증이란? 원인과 발병 시기
유문협착증은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가는 음식물의 통로인 유문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음식물이 이동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신생아는 수유 후 심한 구토를 보이며, 체중 증가가 더디고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문협착증의 주요 원인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호르몬 영향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첫째 아이, 남아,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후 2~8주 사이에 주로 발생하며, 특히 생후 3~5주 사이에 증상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질환은 비교적 흔한 신생아 소화기 질환 중 하나이므로, 부모가 초기 증상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유문협착증의 주요 증상
유문협착증이 발생하면 소화기 장애로 인한 특정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유문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
분수처럼 뿜어내는 구토 : 수유 후 심한 구토가 지속되며, 보통 먹은 직후보다는 수유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후에 발생합니다.
구토 후에도 배고파함 : 아기가 계속 배고파하며, 수유를 원하지만 먹고 난 후 다시 구토를 합니다.
체중 증가가 느리거나 감소 : 영양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체중이 늘지 않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탈수 증상 :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배변 및 소변 횟수가 줄어듭니다.
복부에서 유문이 만져짐 : 숙련된 소아과 의사가 아기의 복부를 촉진하면 올리브 크기의 단단한 덩어리를 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유문협착증을 의심하고 빠른 진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 유문협착증의 진단 방법
유문협착증이 의심될 경우, 병원에서 몇 가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유문협착증 진단 방법
복부 초음파 검사 : 유문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 있는지 확인하는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입니다.
위장 조영술 : 조영제를 이용해 X-ray 촬영을 하여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는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혈액 검사 : 심한 구토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진행하면 예후가 매우 좋은 질환이므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유문협착증의 치료 방법과 관리법
유문협착증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수술 성공률이 높고 회복도 빠른 편이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유문협착증의 치료 방법
유문근절개술(펠러로미오토미, Pyloromyotomy) :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진 유문 근육을 절개하여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수술 후 회복 : 대부분의 아기들은 수술 후 12일 내로 수유를 시작할 수 있으며, 35일 내로 퇴원이 가능합니다.
유문협착증 수술 후 관리 방법
수술 직후 소량의 모유 또는 분유를 먹이며, 점차 양을 늘려 갑니다.
구토가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수유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수술 부위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대부분의 아기들이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보이며, 장기적인 후유증 없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결론
신생아 유문협착증은 생후 2~8주 사이에 발생하는 위장관 질환으로,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가는 유문이 좁아지면서 발생합니다.
분수처럼 뿜어내는 구토, 체중 증가 저하,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의심해봐야 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복부 초음파, 위장 조영술,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치료는 유문근절개술(수술)이 유일한 방법이며, 수술 후 대부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수술 후 적절한 수유 관리와 상처 관리를 하면 아기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유문협착증,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